본문 바로가기
⋅ Cloud/- AWS

[AWS] VPC, 서브넷 , IGW, EC2 생성 및 연결

AWS는 EC2서버 생성 마법사를 쓰면 간편하게 전부 생성 및 연결을 할 수 있지만

좀 더 개념을 알아가기 위해 하나씩 접근했다.

 

1. VPC 생성

2. 서브넷 생성

3. IGW 생성, 연결

4. 라우팅 테이블 연결

5. EC2 생성

1. VPC 생성

     ∘ AWS콘솔에서 검색창에 VPC 검색

 

 

VPC, 서브넷 등 옵션을 선택하면 모든 필요 설정이 한번에 되기에 편리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개념에 대해 차근히 알아가고자 하나씩 생성 및 연결을 하겠다.

     

     ∘ VPC 마법사 시작

     ∘ VPC만 선택 후 IPv4 CIDR 192.168.0.0/16 설정 후 생성

 

 

 

2. 서브넷 생성

   

     ∘ VPC 하위 카테고리의 서브넷 메뉴 접속 후 서브넷 생성

 

 

     ∘ 앞에 만들었던 Test_VPC를 연결 설정

     ∘ 2개의 서브넷 생성 Subnet_192.168.1.0/24, Subnet_192.168.2.0/24

 

 

3. IGW (Internet GateWay) 생성, 연결

   

     ∘ VPC 하위 카테고리의 인터넷 게이트웨이 메뉴 접속 후 게이트웨이 생성

 

     ∘ Test_IGW 생성

     ∘ IGW 목록을 보면 Test_IGW가 생성 됨 작업 탭에서 VPC에 연결 클릭

     ∘ Test_VPC와 연결

 

 

 

4. 라우팅 테이블 연결

     ∘ VPC 하위 카테고리의 라우팅 테이블 메뉴 접속

 

 

     ∘ 아래 탭에서 라우팅 탭 설정 후 라우팅 편집 후 라우팅 추가

     (igw- 만 입력하면 해당 된 igw가 목록에 나옴)

 

     ∘ 아래 탭에서 서브넷 연결탭 클룩 히 서브넷 연결 편집

     ∘ Subnet_192.168.1.0, 2.0 체크 후 연결 저장 클릭

 

 

5. EC2 생성

     ∘ AWS콘솔에서 검색창에 EC2 검색 후 인스턴스 시작

 

     ∘ AMI (Amazon Machine Image) 선택 후 네트워크 및 서브넷은 앞서 생성했던 Test_VPC와

     Subnet_192.168.1.0/24 선택 후 퍼블릭 IP 자동 할당 활성화로 변경

     ∘ 그 후는 Default 설정으로 사용할 예정이기에 검토 및 시작 클릭 후 시작하기 클릭

 

 

     ∘ 시작하기를 누르면 키 페어 선택 및 생성에서 Test_Key 키 페어 생성 후 키 페어 다운로드 후 인스턴스 시작

 

 

     ∘ EC2 인스턴스 생성 완료

 

 

 

     ∘ EC2 인스턴스 생성 완료 후 현재 구성도

 

 

EC2인스턴스에 접속을 하려면 아래 포스팅 확인

 

[AWS] 실습 EC2 인스턴스 접속 SSH 접속 키 설정

본 글은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를 참고로 실습했습니다. AWS EC2 인스턴스를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먼저 SSH접속을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인 PuTTY를 다운 받습니

betterthanpast.tistory.com

 

'⋅ Cloud >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실습 EC2 인스턴스 접속 SSH 접속 키 설정  (0) 2022.02.27
[AWS] 실습 EC2 인스턴스 생성  (0) 2022.02.27
[AWS] 용어 정리  (0) 2022.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