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Cloud/- AWS

[AWS] 용어 정리

EC2(Elastic Compute Cloud)

원하는 사양을 고르고 원하는 시간만큼 사용할 수 있는 "가상서버"

 

AMI(Amazon Machine Image)

AMI생성할 EC2 인스턴스의 기반이 되는 이미지아마존에서 서버 OS들을 많이 제공하고 개개인이 직접 생성해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보안 그룹키 페어

보안 그룹보안을 위해 IP와 포트 번호를 이용해 정의해두는 서버 접속 규칙

키페어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열쇠라고 이해하면 된다.

 

Network = VPC (Virtual Private Cloud)

     ∘ 네트워크 구축을 할 때 사용

     ∘ VPC로 네트웍을 구축하고 서브네팅으로 나눠서 구성

 

방화벽 = Security Group

     ∘ 외부에서 서버로의 접속 허용 및 차단을 위해 사용

 

L4 = ELB (Elastic Load Balancer) 

     ∘ 대량의 트래픽을 분산하는 로드 밸런싱을 위해 사용

 

DNS = Route53

     ∘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비스

 

Storage = S3 (Simple Storage Service)

     ∘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서비스

 

DB = RDS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 데이터 베이스 구축 서비스

 

CDN = CloudFront

     ∘ 사용자가 컨텐츠를 빠르게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EBS (Elastic Block Store) =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 보통 DB디스크로 사용

 

Public IP

     ∘ 동적으로 변경되는 공인 IP

     ∘ AWS 인스턴스가 생성 될 때 임의 IP로 할당됨

     ∘ 웹 서비스 등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라면 변경이 되지 않는 EIP를 할당 받아 사용 해야함

 

Elastic IP

     ∘ 고정 공인 IP

     ∘ DNS에 매칭한다

 

Router = 인터넷 게이트웨이

     ∘ VPC는 폐쇄된 환경이다 외부 통신을 위해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한다.